1차 발사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누리호는 6월 21일 2차 발사에서 성공을 하며 외신에서는 극찬을 하고 있습니다. 이번 누리호 발사에서 해외 외신들에 크게 주목받았던 점은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들어졌으며, 전 세계에서 7번째로 1t 이상의 위성을 쏘아 올리는 기술 획득에 성공한 점을 열거하며,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.
누리호가 정상 궤도에 안착한 이후 남극의 세종기지와도 교신을 잘 마쳤으며,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대한민국의 저력과 잠재적 성장성에 많은 해외 국가들에게 러브콜을 받는 상황까지 연출이 되었습니다.
미국 NASA 의 긴급제안
이번 한국의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미국은 한국에게 유인 달 탐사 '아르테미스' 약정에 가입을 제안하였고, 한국은 이에 화답하여 최종 가입을 완료하였습니다. 이로써 미국은 한국의 달 탐사선을 이용하여 달의 착륙지를 정하는데 합의를 하였습니다. 그 대신 한국은 미국의 NASA로부터 달까지 도달하는 항법에 대하여 자문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달에는 지구에서는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자원인 희토류는 지구 매장량의 10배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, 특히 헬륨-3등의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이 헬륨-3의 경우 달에서 이 자원을 채취하여 지구로 보내져 이용될 경우, 에너지 혁명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임으로 미국에서는 중국˙러시아 연합에 대응 할 수 있을 것으로 기존의 일본을 제외하고 그 자리에 한국을 넣어 동맹을 강화하고자 하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
중국의 견제
중국의 환구시보는 이번 누리호의 발사 성공을 두고, 누리호는 대륙간 탄도탄 (ICBM) 개발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획득했을 것으로 보도하였습니다. 누리호의 우주 발사체 기술은 대륙간 탄도탄 기술과 비슷하여 추진방식, 구조, 단 분리, 유도 합병 제어 등의 기술이 동일합니다. 다른 점이 하나 있다면, 1000km 고도까지 상승하여 지구 중력으로 낙하하게 만들어 발사체를 미사일의 용도로 지상의 목표를 공격하는 것이 대륙간 탄도탄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우주발사체의 끝에 위성을 실으면 우주 발사체가 되는 것이고, 발사체의 끝에 탄두를 탑재하면 대륙간 탄도탄이 되어 버리는 것이기에 중국에서 경계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. 지난 3월에는 한국국방과학연구소의 고체 연료 우주 발사체 시험 발사에도 성공하였는데, 이를 다름 아닌 국방부에서 발표를 하였고,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 사진을 국방부 한 고위 관계자가 올려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을 경악하게 만들었습니다.
2020년 한미 미사일 협정에서 사거리에 제한이 풀리게 되면서, 우리나라는 2년동안 미사일 개발에서 엄청난 횡보를 보이고 있는데, 이번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는 사거리가 무려 3,000km~5,500km의 중거리 탄도탄급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 이는 북한은 물론이고 중국의 전역까지도 미사일 타격이 가능하게 된 셈입니다.
현무 5 개발의 초석
누리호의 발사 성공 및 중거리 탄도탄급 고체 연료 우주 발사체 발사 성공으로부터 현무 5, 사거리 5,000km 급 중거리 탄도 미사일 개발의 초석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 사거리 5,000km 타격이 가능해진다면 일본과 중국은 물론이고 동남아시아 및 유럽 그리고 러시아까지 사정권에 들어오게 됩니다.
미국의 경우 한국이 사거리 5,000km 탄도 미사일을 갖게 되더라도 미국까지 사거리가 닿지도 않을 뿐더러, 중국을 견제하는데 한국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 확보가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
따라서 한국의 향후 중거리 탄도 미사일의 개발에 더욱 더 많은 시선과 관심이 모이고 있는 가운데, 이를 기반으로 한국이 더욱더 유리한 고지에 서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'국제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베 전 총리 살해동기 (0) | 2022.07.11 |
---|---|
아베 전 일본 총리 산탄총 맞고 병원 이송중 (0) | 2022.07.08 |
러시아 디폴트 가능성 높아 (0) | 2022.06.27 |
대만 수도 타이페이 6.0 규모 지진 - Earthquake in Taipei (0) | 2022.06.20 |
쓰촨성 샨샤댐 지진 발생 (3) | 2022.06.10 |
댓글